한명회 (1415∼1487 태종 15∼성종 18) 천안군 소재
조선 전기 문신. 자는 자준(子濬), 호는 압구정(鴨鷗亭). 본관은 청주(淸州). 유방선(柳方善)의 문인이다.
두 딸은 예종비인 장순왕후(章順王后), 성종비인 공혜왕후(恭惠王后)이다.1452년(문종 2) 음보로 경덕궁직(敬德宮直)을 지내고, 이듬해 수양대군의 심복 참모로서 계유정난(癸酉靖難)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워 정난공신 1등으로 사복시소윤(司僕寺少尹)에 올랐다. 55년 세조가 즉위하자 좌익공신(佐翼功臣) 1등으로 우승지가 되었으며,
이듬해 성삼문(成三問) 등의 단종복위운동을 좌절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좌승지·이조판서로 승진하고 상당군(上黨君)에 봉해졌다. 61년(세조 7) 부원군에 진봉(進封)되고,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66년 영의정에 올랐다. 68년 세조가 죽고 예종이 즉위하자 세조의 유교(遺敎)에 따라 원상(院相)으로서 서정(庶政)을 처결하였고,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이듬해 영의정으로서 병조판서를 겸임하였다. 71년(성종 2) 성종 즉위에 협찬한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 1등에 책록되고, 같은해 영춘추관사(領春秋館事)로서 최항(崔恒)·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세조실록》을 완성하였다. 84년(성종 15) 궤장을 하사받았다. 세조가 <나의 장량(張良)>이라고 할 정도로 총애받은 1급 참모로, 4차에 걸친 1등공신에 예종·성종의 장인〔國舅〕으로서 요직을 두루 역임하여 훈구파(勳舊派)의 중심적 위치에 있었다. 죽은 뒤세조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으나,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 때 연산군의 생모 윤씨(尹氏) 폐사(廢死)에 관련되었다는 이유로 부관참시되었다가 신원(伸寃)되었다. 시호는 충성(忠成).
현재의묘소는 이장한곳으로 부인 밑으로 모셔왔으며 子坐午向으로
되어 있다 현재의묘소 앞에는 경부고속도로가 있어 氣가 洩氣되어 있어 명혈로 보기는 많이 부족하다고 풍수적으로 말들 하지만 필자가 수맥으로 감정해본 결론은 100개의 묘들중에 3~4개 찾기도 어려울 정도로 찾기 어려운 수맥을 피한 명당 이였다.
이렇게 본다면 풍수적으로 외형을 잘 갖춘 그 속을 확인할 수 없는 풍수적 명당 보다는 외적인 요인은
보잘 것 없어도 그 속이 수맥유해파를 피해있는 온화한 곳이라면 편히 쉴만한 곳은 아닐런지....
<선인수맥감정연구회 宣人배성권 017-277-1193 >
'◀ 수맥의 모든것 ▶ > § 명당(明堂)을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인수맥감정연구회 수맥/풍수정보>수맥이 흐르는 왕릉일가의 납골묘 (0) | 2008.07.14 |
---|---|
《선인수맥감정연구회 수맥/풍수정보 》수맥을 피한 명당 한명회와 부인 묘 (0) | 2008.07.12 |
《선인수맥감정연구회 수맥/풍수정보》황희정승의 묘를 수맥으로 감정해 보 (0) | 2008.07.12 |
《선인수맥감정연구회 수맥/풍수정보 》황희정승의 묘를 수맥으로 감정해 (0) | 2008.07.12 |
《선인수맥감정연구회 수맥/풍수정보》#국립묘지에 계신 역사적 위인들의 (0) | 2008.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