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 7월 10일 경기도기념물 제13호로 지정되었다.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남전리에 있다. 2단으로 쌓인 석축대 위에 있다. 사성(莎城)에 둘러싸인 봉분을 중심으로 바로 앞에 상석이 놓여 있고, 왼쪽에 묘비가 있으며 좌우에 망주석이 있는 간소한 묘이다.
남이(南怡:1441∼1468)는 본관은 의령(宜寧)이다. 태종(太宗)의 외손(外孫)이며, 좌의정 권람(權擥)의 사위이다. 1457년(세조 3) 17세 때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세조의 총애를 받았다. 이시애의 난(1467)이 일어나자 출전하여 용맹을 떨쳤고, 여진(女眞)의 건주위(建州衛)를 정벌할 때에도 선봉으로 적을 무찔러 이름을 날렸다.
적개공신(敵愾功臣)이 되고 훈(勳) 1등이 되어 26세의 나이로 병조판서(兵曹判書)가 되었다. 그러나 예종(睿宗)이 즉위한 후인 1468년 유자광(柳子光)의 무고로 역모를 도모한다는 죄명을 쓰고 능지처참형을 당하였다.
400여 년이 지난 후인 1818년(순조 18) 우의정 남공철(南公轍)의 주청으로 관작(官爵)이 복귀되었다.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후에 창년의 구봉서원(龜峯書院), 서울특별시 용산의 용문사 및 성동의 충민사에 배향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남이가 어디에 묻혔는지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 강원도 춘성군 남면의 남이섬에도 남이가 묻혔다는 전설이 있는 돌무더기가 있다. 남이섬이라는 이름도 여기에서 유래된 것이다. 인근 주민들 사이에서는 그 돌을 함부로 가져가면 집안에 우환이 생긴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왔다. 섬을 유원지로 개발하면서 돌무더기 위에 흙을 덮어 봉분을 만들어 지금은 그 둘레가 잘 치장되어 있다.
수맥을 감정한 결과 수맥이 봉분 중앙을 관통하고 있다.
'◀ 수맥의 모든것 ▶ > § 명당(明堂)을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수맥을 감정해본 이익 선생묘 (0) | 2008.05.20 |
---|---|
[스크랩] 수맥감정결과 충열공 박원종 묘역 (0) | 2008.05.19 |
[스크랩] 수맥감정 백천장 선생묘 [白天藏先生墓] (0) | 2008.05.17 |
[스크랩] 수맥감정 조선중기 문신 우성전 묘 (0) | 2008.05.16 |
[스크랩] 고 최규화 대통령의 묘 (0) | 2008.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