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전국출장 수맥과터 진단전문/ 주택(APT.전원주택) 산소,사무실 감정 010 6277 1193
  • 전국출장 수맥과터 진단전문 / 주택(APT.전원주택) 산소,사무실 감정 010 6277 1193
◀ 수맥의 모든것 ▶/§ 풍수(風水)아카테미

선인수맥감정연구회 풍수정보-풍수용어 ㅇ

by 宣人 2011. 11. 16.

 

아미사(蛾眉砂)
안산(案山)의 모양이 나비의 눈썹 같은 모양을 말하며, 여자후손 중에 왕비가 난다고 한다.

안대(案對)
전라도에서 무덤의 방향을 잡을 때 안산이나 조산의 봉우리와 무덤의 방향을 일치시키는 좌향법이다.

안산(案山)
이것은 혈 앞 낮게 엎드린 산으로 주인이 손님과 마주앉은 책상과 같은 역할을 한다. 높으면 눈썹 정도고 낮으면 심장의 위치로 보여야 좋다.
혈 바로 앞에 있는 낮고 야트막한 산이다.

주산(主山) ·청룡(靑龍) ·백호(白虎)와 함께 풍수학상의 네 요소의 하나이다. 여러 산이 겹쳐 있으면 내안산(內案山)과 외안산으로 구별한다. 지가서(地家書)에 보면 “조산(朝山)이나 안산은 묏자리의 맞은편 산이다. 가깝게 있으면서 작은 것은 안산, 멀리 있으면서 높은 것은 조산이라 한다.

안(案)이란 귀인(貴人)이 안석에 기대어 정무(政務)를 살피는 형상이고, 조(朝)라는 것은 주인과 손이 마주 대하여 예(禮)를 행하는 형상이다. 안산이 있으면 묏자리를 보호하여 재이(災異)의 침범이 없고, 조산이 있으면 앞의 국면(局面)이 넓고도 밝아서 험악한 근심이 없으니 두 가지가 겸비한 것이 가장 좋다”고 하였다.

안산은 본신안산(本身案山)과 외래안산(外來案山)이 있는데, 본신안산은 묏자리가 있는 주산에서 줄기가 뻗어나가 안산을 이룬 것이고 외래안산은 다른 산줄기가 뻗어나와 안산을 이룬 것이다.

암장(暗葬)
남의 땅에 몰래 장사를 지내거나, 남의 묘를 파내고 자기 조상의 시신을 묻는 경우를 말한다.

압혈(壓穴)
안산이나 조산이 혈보다 지나치게 높으면서 가까이 있으면 혈을 생기를 눌러 흉하다.

양(養)
12포태법 상에서 생명을 다 이루어 놓고 출생만 기다리는 상태이다. 기대에 부풀어 있다.

양균송(楊筠松)
당 나라 때의 풍수가로 호가 구빈(救貧)이다. 『청낭서(靑囊序)』와 『청낭오어(靑囊奧語)』를 저술하여 이기론을 완성하였다.

양기(陽氣)
자연을 변화시키는 주체로 물과 바람을 가리킨다. 풍수에서는 물과 바람을 같은 개념으로 본다.

양기론(陽基論)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거주하는 마을이나 도읍지를 정하는 지표로 삼는 풍수의 이론이다.

양택(陽宅)과 음택(陰宅)
어두운 것은 음이요 밝은 것은 양이요, 밤은 음이요 낮은 양이요, 암컷은 음이요 수컷은 음이요, 죽은 사람은 음이요 산 사람은 양이다.
따라서 산 사람이 양(陽)인데 비해, 음택(陰宅)은 죽은 자의 집인 까닭에 묘지를 일명 음택이라 칭한다. 반면에 죽은 자의 집인 음택에 비해, 양택(陽宅)은 산 자의 집인 연유로 주택을 일명 양택이라 칭한다.

양택(陽宅)
살아있는 사람이 사는 가옥, 마을 등을 말한다.
풍수지리설에서 무덤을 음택(陰宅)이라고 부르는 데서 상대적으로 쓰이는 말이다. 이승을 양(陽), 저승을 음(陰)으로 상징한다. “양택을 본다”는 말은 집터의 위치와 건물의 방향, 배치 등을 전래의 풍수지리이론에 의하여 따져본다는 말이다. 대략 다음과 같다. ① 좌향(방향):문왕팔괘(文王八卦:후천팔괘라고도 함)를 사용하여 좌향(坐向)을 정하는데 좌는 앉은 위치를, 향은 앞쪽 방향을 뜻한다. 예를 들어 집의 방향이 동남향이라면 그냥 손(巽:동남)향이라고 하지 않고 반드시 건좌손향(乾坐巽向)이라고 표기한다. 건(乾)은 서북 방향이니 집 앞쪽 방향인 손향과 정반대 방향으로 곧 집의 뒤쪽 방향이 된다.

② 집의 구성:문(門:대문), 주(主:안방), 조(帛:부엌)를 삼요(三要)라 칭하여 이를 중시한다. ③ 명궁(命宮):좌향을 정할 때 대주(주인)의 생기(생년)와 맞아야 한다. ④ 집의 높이와 밝기가 알맞아야 한다. 너무 높으면 손양(損陽)이 되어 혼을 상하고 너무 낮으면 음기가 왕성해서 백(魄)을 상한다는 이론이다. ⑤ 건물의 배치는 ‘日’자형 ‘月’자형 ‘口’자형 ‘吉’자형이 좋고 ‘工’자형 ‘尸’자형은 흉하며 칸수는 홀수가 좋다. 안방은 남향이 가장 좋고 그 다음이 동향, 북향이며 서향이 가장 흉하다. 부엌문과 대문은 마주보지 않게, 대문으로 들어오는 길은 돌아서 들어오게 만든다.

양택론(陽宅論)
산 사람에게 보다 쾌적한 생활 환경을 제공하는 주거지를 결정하는 풍수의 이론이다.

양풍(陽風)
계곡에서 자연적으로 생기는 음풍(陰風)과 대비되는 바람으로 자연 상태에서 부는 바람이다.

역수(逆水)
물길이 혈을 향해 들어오는 형상으로 풍수는 재물이 몰려온다고 해석하여 귀하게 본다. 명당수라고도 한다.

염승(厭勝)
마을의 안정을 목적으로 마을 지세가 지닌 부족한 점을 보충하거나 변경하는 행위이다.
마을의 안정을 목적으로 마을 지세가 지닌 부족한 점을 보충하거나 변경하는 행위이다.
그 예로 배 모양의 마을에서는 배가 흘러가지 않도록 닻을 만들어 봉우리에 걸거나 솟대 등을
세워 돛대의 의미를 지니도록 하였다.

오성(五星)
산의 형태를 목, 화, 토, 금, 수(木, 火, 土, 金, 水)의 다섯 가지 기운으로 나눈 것이다.
목성(木星)은 나무와 같이 솟은 모양이며, 화성(火星)은 불과 같이 뾰족한 모양,
토성(土星)은 넓고 편편한 모양이다. 금성(金星)은 산의 윗부분이 둥글고 아랫부분이 넓은 모양,
수성(水星)은 파도와 같은 모양을 말한다.

옥인(玉印)
묘 주위에 있는 암반(큰 바위), 건물 등을 말한다.

와혈(窩穴)
형기론에서 혈장의 모양을 부르는 말로, 일명 '소쿠리 명당'으로 불린다. 외형이 소쿠리나 쟁반처럼 오목(凹)하게 되어 있으며, 혈장의 한쪽부분이 다른 한 쪽보다 길게 혈장을 감싸고 있다.

왕기맥(旺氣脈)
내룡을 다섯 구획 중에서 우측의 첫 번째에 위치한다.

외당(外堂)
혈장 밖의 자연을 감싼 국(局)을 가리키며, 이기론 상 자연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자주 사용한다.

외반봉침(外盤縫針)
패철 8층을 가리키며, 물의 파와 향을 잡는데 사용한다.

요도(橈棹)
혈장의 좌우나 전후에 붙어서 내룡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지각(枝脚)이다.

용(龍)
땅의 기복을 가리키며 마치 그 모양이 용과 같다는 데서 유래한다.
산을 말하나 주로 산의 정상으로부터 사방으로 뻗어 나간 줄기 즉, 땅의 기복을 말한다. 이는 그 형상이 용이 꿈틀거리는 것과 비슷하다고 해서 술법상(術法上)의 용어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용은 음양이 조화된 것이므로 산의 무궁무진한 변화와 예측하기 어려운 조화가 마치 용과 같다고 하는 의미에서 유래된 것이라고도 한다. 산줄기를 가리키며 일어섰다 엎드렸다 하는 산줄기를 용이 꿈틀거리며 달려가는 모습으로 본 것이다.
용은 즉 산을 칭하는 말로서, 풍수가들이 사용하는 술어이다. 산을 용이라 칭하는 까닭은 산의 형태가 혹은 일어나고 혹은 엎드리고 혹은 꾸부러지고 혹은 숨었다가 혹은 나타나는 등, 그 변태(變態)가 천형만상(千形萬象)으로 변화하여, 마치 이러한 변화가 용의 무궁무진한 변화와 흡사하다고 하여 산을 용이라 칭하며, 풍수가들의 용어로 사용된다.

용맥(龍脈)
생기를 품고 흘러가는 에너지 통로를 가리키며, 보통은 산줄기나 산맥을 말한다.

용상팔살(龍上八殺)
무덤 속으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가리키며 패철 1층에 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묘 중에서 잔디를 심어도 뿌리를 내리지 못하거나 벌건 황토가 드러나면 용상팔살에 걸린 경우가 많다.

우득우파(右得右破)
물이 우측에서 득수하여 혈을 감싸안고 흐르지 못한 채 무정하게 우측으로 빠져버리는 모습이다. 자연이 올바로 순환하지 못 하는 흉지이다.

우선룡(右旋龍)
산이 물과 바람의 영향을 받아 우측에서 좌측으로 휘어진 모양새를 말한다. 좌선룡은 내룡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휘어진 모양이다.

월견(越肩)
일명 '규봉(窺峰)'이라하며 청룡과 백호 건너 편에서 혈을 향해 언뜻언뜻 넘겨다보는 산으로 마치 구경꾼이 담장을 넘어 방 안을 들여다 보는 형상이다.

월수(越水)
청룡과 백호의 중간으로 건너편의 들판이나 물길이 바라다 보이는 것으로 그곳으로 바람이 불어옴으로 매우 흉하다. 월수에 달빛이 비추어 그 반사빛이 묘에 이르면 후손이 큰 재앙을 당한다고 한다.

유혈(乳穴)
혈장의 핵심인 혈심을 향해 봉긋하게 도드라진 형상이며, 여자의 유방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육신 (六神)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에서 적용하는 오방(五方)을 지키는 여섯 가지 신(神).
남은 주작(朱雀), 북은 현무(玄武), 서는 백호(白虎), 동은 청룡(靑龍), 중앙은 구진(句陳)과 등사(윕蛇)이다.

육(育)
내룡의 생기가 응집된 혈을 뜻하며 즉 부모태(胎)식(息)잉(孕)육 (育)의 마지막 단계이다.

육탈(肉脫)
시신을 땅에 묻으면 피와 살은 곧 썩어 흙으로 돌아가는 것을 가리킨다.

윤도 (輪圖)
무덤 자리나 집터를 정할 때 풍수가(風水家)나 지관(地官)이 사용하던 나침반(羅針盤).
흔히 이것을 지남철(指南鐵) 또는 패철(佩鐵)이라고 부르며 쇠[鐵]라고 약칭한다. 윤도는 나침반 위에 있는 바퀴살 모양의 도표란 뜻이며 지남철의 얼굴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이 지남철의 시원은 한(漢)대까지 소급된다. 그때 이미 풍수점(風水占)에 쓰였다고 보며 BC 4∼5세기엔 자석침을 빙빙 돌 수 있게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또 BC 2700년경에 지남차(指南車)가 만들어져 치우(蚩尤)와의 전투에서 황제(黃帝)는 이것을 이용하여 안개 때문에 길을 잃은 병사들에게 길을 찾도록 도와주고 결국 치우를 사로잡았다는 전설이 있으며 지남철은 중국의 발명품으로 공인되었다.

한국 문헌에 윤도라는 말이 보인 것은 《영조실록》 1718년 11월 초에 "청나라에서 들어온 오층윤도(五層輪圖)를 모조하도록 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그러나 이것이 풍수행위의 도구로 쓰인 것은 삼국시대로 소급되며, 무덤이나 집터를 잡을 때 지금도 널리 쓰이고 있으니 윤도와 한국인 생활의 연관은 그 뿌리가 매우 깊다고 할 수 있다.

윤도의 구조는 한복판에 나침반이 있고 그것을 중심으로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커지는 여러 층의 원이 그려졌으며 이 원들과 바퀴살 모양의 직선들이 서로 만나는 지점에 방위표시의 한자(漢字)들이 깨알처럼 씌어 있다. 이 글자들은 동서남북 등 방향 표시의 글자가 아니라는 점이 일반 나침반과 다르다. 주역의 팔괘와 천간(天干)과 십이지(十二支)가 기록되었다.

즉 동(東)·서(西)·남(南)·북(北)이란 글자 대신 진(震)·태(兌)·이(離)·감(坎)자를 각각 쓰며 그 간방인 동남·남서·서북·북동이란 글자가 들어가는 지점에 손(巽)·곤(坤)·건(乾)·간(艮)이란 8괘 글자가 표기된다. 또 천간과 오행(五行)도 표기되는데 갑을(甲乙)은 목(木)으로서 동(東)에, 병정(丙丁)은 화(火)로서 남(南)에, 경신(庚辛)은 금(金)으로서 서(西)에, 임계(壬癸)는 수(水)로서 북(北)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무기(戊己)가 빠지는 것은 토(土)로서 중앙에 해당되어 중앙은 방향 표기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윤도의 내용은 조선과 중국이 서로 달랐다.

음택(陰宅)
죽은 사람이 묻힌 무덤을 말한다.

음택론(陰宅論)
죽은 사람의 기(氣)가 후손의 기와 감응하여 복이나 화를 미친다는 풍수설로 보통은 묘 터를 잡거나 장사를 지내는 무던 풍수를 가리킨다.

음풍(陰風)
산세가 험준할 경우 깊은 골짜기에서 자연적으로 생기는 찬바람 이다. 음풍은 혈 주변의 산들이나 입수, 묘 앞쪽의 전순까지 손상시키거나 허약하게 만든다.

이기론(理氣論)
패철(나경)로 측정한 수구(水口)의 방향으로 혈의 국(局)을 정한 다음 국에 따라 내룡과 수구의 이기를 격정해 좌향을 잡는 풍수 이론이다. 자연 과학적인 접근으로 일명 득수론, 좌향론이라고 부른다.

인반중침(人盤中針)
패철 6층을 가리키며, 혈 주변의 사봉들이 혈에 대해 도움을 주는지 혹은 해를 주는 지를 감결한다.

인정(人丁)
풍수에서는 후손 특히 대를 이을 남자 후손을 가리킨다.

인합사(印盒砂)
혈 주변에 도장처럼 생긴 바위를 보통 일컬으며 <귀인사가 있으면 벼슬을 한다거나 혹은 옥쇄라 하여 임금이나 대통령이 태어난다 >고 해석한다. 인주와 같이 붉은 색을 띄면 더욱 좋다고 한다.

임관(臨官)
12포태법 상에서 청년기에 해당하며, 장원으로 과거에 급제하고 결혼하는 시기이다. 젊은 기상이 한껏 부풀어 오른 상태이다.

입수(入首)
혈을 만들기 위해 최종적으로 생기 에너지를 응결시킨 곳. )혈로 들어가기까지의 부분을 말한다.
잉(孕)식(息)을 지나 산줄기가 다시 살짝 솟아올라 하나의 정점을 이룬 곳. 즉 부모태(胎)식(息)잉(孕)육(育)의 네 번째 단계이다.

 

 

선인수맥감정연구회 010-6277-1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