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전국출장 수맥과터 진단전문/ 주택(APT.전원주택) 산소,사무실 감정 010 6277 1193
  • 전국출장 수맥과터 진단전문 / 주택(APT.전원주택) 산소,사무실 감정 010 6277 1193
◀ 수맥의 모든것 ▶/§ 풍수(風水)아카테미

선인수맥감정연구회 풍수정보-풍수용어 ㅈ

by 宣人 2011. 11. 16.

 

자연 황천(自然黃泉)
자연의 흐름이 거꾸로 순환하는 경우로 외당이 좌선수인데 내당이 우선수이던가, 외당이 우선수인데 내당이 좌선수인 경우이다.
자연황천에 걸린 내룡은 물이 차거나 바람이 침입하여 흉지가 된다.

잠룡(潛龍)
내룡이 뻗어 온 방향을 패철로 격정할 때, 내룡의
중심선이 간지(干支)의 중심선 상에 놓이지 않은 상태이다. 예를 들어 내룡의 중심선이 해 (亥)와 임(壬), 혹은 자(子)와 계(癸) 자 사이에 놓여 불배합된 상태이다.

장막(帳幕)
산세의 흐름이 마치 병풍을 펼쳐 놓은 듯이 좌우로 겹겹으로 가지를 친 모양세이다.

장생(長生)
12 포태법 상에서 드디어 한 생명이 태어나는 것이다. 경사스럽고 기쁜 일이다.

장택법(葬擇法)
시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천문의 이기에 따른 매장의 일시, 망자와 후손들의 사주(四柱) 등 천문•지리•인사(人事)가 서로 완벽한 조화가 이루도록 장사를 지내는 절차나 과정이다.

장풍법(藏風法)
혈의 생기가 흩어지지 않도록 주변의 산봉우리가 혈장을 감싸준 곳을 찾는 풍수의 술법이다.
즉 명당에 자리잡은 혈장을 선정하는 것이 풍수의 목적으로서 명당 주위의 지형, 지세를 어떻게 인식하는가의 문제는 풍수의 이해에 매우 중요하다. 이 때 명당 주변의 지세에 대한 풍수이론을 통칭하여 장풍법 이 라고 한다. 장풍법은 도읍, 주택, 묘지를 정하는 요체가 된다.

전순(氈脣)
혈장의 바로 앞에 맞닿아 있으면서 혈장의 생기를 보호하고 지탱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보통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절(絶)
12 포태법 상에서 모든 형체가 절멸된 채 기조차도 쉬고 있다. 사람으로 말하면 아직 임신되지 않은 상태다.

정감록 (鄭鑑錄)
조선 중기 이후 민간에 성행하였던, 국가운명 ·생민존망(生民存亡)에 관한 예언서 ·신앙서.
참서(讖書)의 하나인 이 책은 여러 비기(??記)를 모은 것으로, 참위설(讖緯說) ·풍수지리설 ·도교(道敎)사상 등이 혼합되어 이룩되었으며, 조선의 선조인 이담이란 사람이 이씨의 대흥자가 될 정씨의 조상인 정감으로부터 들은 이야기를 기록한 책이라는 말도 전하나 그 종류가 많아 40∼50종류에 이르며 정확한 저자의 이름과 원본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정감록》이라 하면 《감결(鑑訣)》을 비롯한 여러 비기(?? 記)에다 《동국역대본궁음양결(東國歷代本宮陰陽訣)》 《역대왕도본궁수(歷代王都本宮數)》등을 합친 비기의 집성을 말하기도 하고, 단순히 《감결》 하나만을 떼어서 말하기도 한다. 그 명칭도 많지만, 《정이감여론(鄭李堪與論)》 《정이문답(鄭李問答)》 《정감록(鄭堪錄)》 《감결》 《징비록(懲??錄)》 《정인록(鄭寅錄)》 등의 이본(異本)이 있다.

현재 이 제목이 붙은 책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규장각본 《정감록》:필사본. 1책, ② 김약술(金若述) 소장본 《정감록》:필사본. 1책, ③ 김용주(金用柱) 발행 《정감록》:활자본. 국판. 163면. 1922년 발행, ④ 《비난정감록진본(批難鄭鑑錄眞本)》:활자본. 4×6판. 100면, ⑤ 자유토론사 장판(自由討論社藏版) 호소이 하지메[細井肇] 편저 《정감록》:4×6판 등을 들 수 있다.

《정감록》의 내용은 조선의 조상이라는 이심(李沁)과 조선 멸망 후 일어설 정씨(鄭氏)의 조상이라는 정감(鄭鑑)이 금강산에서 마주앉아 대화를 나누는 형식으로 엮어져 있는데, 조선 이후의 흥망대세(興亡大勢)를 예언하여 이씨의 한양(漢陽) 도읍 몇백 년 다음에는 정씨의 계룡산(鷄龍山) 도읍 몇백 년이 있고, 다음은 조씨(趙氏)의 가야산(伽倻山) 도읍 몇백 년, 또 그 다음은 범씨(范氏)의 완산(完山) 몇백 년과 왕씨(王氏)의 재차 송악(松嶽:개성) 도읍 등을 논하고, 그 중간에 언제 무슨 재난과 화변(禍變)이 있어 세태와 민심이 어떻게 되리라는 것을 차례로 예언하고 있다. 현재 전해지고 있는 것으로는 이 두 사람의 문답 외에 도선(道詵) ·무학(無學) ·토정(土亭) ·격암(格庵) 등의 예언집도 있다. 이에 관한 가장 오랜 기록은 1785년(정조 9) 홍복영(洪福榮)의 옥사사건 기록에서 나온다.

비록 허무맹랑한 도참설 ·풍수설에서 비롯된 예언이라 하지만, 당시 오랜 왕정(王政)에 시달리며 조정에 대해 실망을 느끼고 있던 민중들에게 끼친 영향은 지대하였다. 실제로 광해군 ·인조 이후의 모든 혁명운동에는 거의 빠짐없이 정감록의 예언이 거론되기도 하였다. 연산군 이래의 국정의 문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그리고 당쟁(黨爭)의 틈바구니에서 도탄에 허덕이던 백성들에게 이씨가 망한 다음에는 정씨가 있고, 그 다음에는 조씨 ·범씨가 일어나 한 민족을 구원한다는 희망을 불어넣으려 한 점에서 이 책은 높이 평가될 수는 있다. 그러나 반면 우매한 백성들이 이 책의 예언에 따라 남부여대(男負女戴)하고 십승지지(十勝之地)의 피란처를 찾아 나서는 웃지 못할 희극을 수없이 연출시킨 것은 이 《정감록》의 악폐였다.

정혈(定穴)
생기가 응집된 곳을 정하는 방법으로 형기론에서는 간룡법, 장풍법, 정혈법이 있고, 이기론에서는 득수법, 좌향법이 있다.

정혈법(定穴法)
형기론에서 혈을 정하는 방법으로 내룡에서 혈까지 내려온 산세의 모양이 부모→태(胎)→식(息)→잉(孕)→육(育) 형태로 이루어져야 하고, 혈장 주변의 산세는 입수, 선익, 전순, 토색들이 명당의 조건을 갖추어야 하고, 또 혈 자체의 모양도 와, 겸, 유, 돌의 형상을 갖추어야 한다.

제왕(帝旺)
12 포태법 상에서 벼슬도 높아지고 재물도 많아지는 때이며, 인생의 최고 전성기이다.

조산(朝山)
혈 앞쪽의 안산 너머로 높고 웅장하게 서 있는 산으로 보통 주작이라 한다. 모양은 마치 새가 날개를 펼치고 날아가듯이 우아하고 수려한 것을 제일로 친다.

조정동(趙廷棟)
생몰년 미상의 풍수가로 『지리오결(地理五訣)』을 저술하였다. 용, 혈, 사, 수에 향법(向法)까지 추가하여 오결이라 명명하고 이기 론을 완성하였다.

족장(族葬)
한 내룡에 여럿 명의 조상을 위에서 아래쪽으로 나란히 모시는 장법(葬法)으로 조선시대에 와 생긴 풍습이다.

좌득좌파(左得左破)
물이 좌측에서 득수하여 혈을 감싸안고 흐르지 못한 채 무정하게 좌측으로 빠져버리는 모습이다. 자연이 올바로 순환하지 못 하는 흉지이다.

좌선수(左旋水)
물의 흐름이 왼쪽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으로 흘러 빠지는 경우를 말한다.

좌향(坐向)
좌는 혈의 뒤쪽으로 집이나 무덤의 자리이며 향은 그것이 바라보는 방향이다.
좌는 시신의 머리 방향이고, 향은 발의 방향을 가리킨다. 즉 혈의 중심 즉, 주거지의 경우 주건축물을 세우는 곳 그리고 음택(묘지)의 경우 관을 넣는 곳을 좌라고 하며, 이 좌가 정면으로 향하는 방위를 향이라고 한다. 따라서 좌향은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좌향은 주로 24방위를 사용하는데 대표적인 좌향인 자좌오향(子坐午向)의 경우 좌가 정북방에 그리고 그 방향이 정남방을 향하고 있는 것이다. 24방위에서 자(子)는 정북, 오(午)는 정남이 되기 때문이다.
풍수설은 크게 조상부모의 유해를 통해서 자손의 번성과 입신출세를 바라는 陰宅風水와, 주거지에 의해 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양택풍수로 나눌 수 있다. 주택의 위치와 좌향을 이르는 陽宅風水의 원리에는 간룡법(看龍法) •장풍법 (藏風法)•득수법(得水法)•정혈법(定血法)•좌향론(坐向論)•형국론(形局論) 등의 형식논리를 갖는다.
또 묘터나 집터 등의 위치에서 등진 방위를 좌(坐)라고 하며, 이 등진 방위에서 정면으로 바라보이는 방향, 즉 앞쪽 방향을 향(向)이라 한다. 따라서 묘자리나 집터 위치의 등진 방위에서 정면으로 바라보이는 방향을 좌향이라 칭한다. 때문에 이 좌와 향은 일직선상에 있게 된다.
예컨데 나침반으로 좌향을 측정할 때는 나침반을 묘터나 집터의 중심에 놓고, 등진 방위의 중심이 자위(子位)에 있게되면 이 좌를 자좌(子坐)라 부르게 되며, 이 방위의 연장선인 반대편의 오위(午位)를 오향(午向)이라 부른다. 이를 통칭 자좌오향(子坐午向)이라 부르며, 좌가 북방에 있고 그 정면 방향이 남방을 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풍수에서는 방위를 칭할 때 동.서.남.북.동북.동남.서북.서남 등의 호칭을 하지 않고, 사괘(四卦)인 건(乾).곤(坤).간(艮).손(巽)과 팔간(八干)인
갑(甲).경(庚).병(丙).임(壬) 및 을(乙).신(辛).정(貞).계(癸)와 십이지(十二支)인 자(子).축(丑).인(寅).묘(卯).진(辰).사(巳).오(午).미(未).신(申).유(酉).술(戌).해(亥)를 조합한 24방위의 명칭을 쓰는 것이다.

좌향론(坐向論)
향법을 강조하는 이기론을 다르게 부르는 말이다.
즉 혈이란 풍수에서 요체(要諦)가 되는 장소로서 혈은 음택(陰宅)의 경우 시신(尸身)이 직접 땅에 접하여 그 생기를 얻을 수 있는 곳이며 양기(陽基)의 경우 거주자(居注者)가 실제 살게 되는 장소이다. 혈 자리는 음양의 조화가 집중적으로 표출된 곳이기 때문에 음래(陰來)이면 양수(陽受)하고 양래(陽來)이면 음수(陰受)하는 생기취주(生氣聚注)한 곳을 정확히 잡아야 한다. 이것이 정혈법이다.
산 •수 • 방위 •사람 등 풍수구성요소 중 방위에 관계되는 것이 좌향론이다. 좌향은 원래 혈에서의 위치로 본 방위-혈의 뒤쪽을 좌 (坐), 혈의 앞쪽을 향(向)-를 말하지만 일반적으로 좌향론 하면 혈처(穴處)에서의 좌향 뿐만 아니라 산과 수의 흐름 방향 등 방위 전반 이 관련된다. 좌향은 산수(山水)로 대표되는 국면(局面) 전반이 일정한
형국(形局)으로 좌정(坐定) 되었을 때 전개후폐(前開後閉) 즉 혈의 앞쪽이 열리고 뒤쪽으로 의지할 수 있는 선호성(選好性) 방위를 선택하면 된다.좌향론에서 좌향이란 정면으로 바라보이는 방향을 말한다. 이는 풍수의 본질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일조일사효과, 지역의 계절풍 등의
절대성과, 시계, 구심점, 향 등의 상대성이 강조되어야 하는 것이다.

주산(主山)
혈을 맺게 해주는 혈 뒤쪽에 높게 솟은 산을 일컫는다. 마을이나 도읍지를 보는 양기론 풍수에서는 진산(鎭山)이라 부른다.

주작(朱雀)
혈의 앞쪽에 높게 솟은 산을 가리키며 보통 조산(朝山)과 같은 개 념이다. 모양은 마치 새가 날개를 펼치고 날아가듯이 우아하고 수려한 것을 제일로 친다.
주조(朱鳥)라고도 한다. 중국 설화 등에서는 청룡(靑龍) ·백호(白虎) ·현무(玄武) 등과 함께 하늘의 4신(四神)을 이룬다. 한국에서는 풍수용어(風水用語)로 사용된다. 이들 4신은 하늘의 사방(四方)을 지키는 신으로 알려져 있는데, 주작은 남쪽의 수호신(守護神)이다. 남쪽에는 28수(宿) 중 정(井) ·귀(鬼) ·유(柳) ·성(星) ·장(張) ·익(翼) ·진(軫)의 7개 성좌(星座)가 있다. 그 형상은 시대마다 약간의 양식적인 변화는 있지만 현실과 상상의 동물이 복합된 봉황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무덤과 널[棺]의 앞쪽에 그렸다.


중조산(中祖山)
태조산에서 뻗어 내린 산줄기가 혈 쪽으로 내려오면서 다음으로 웅장함을 갖춘 산이다. 국립공원이 들어선 명산은 대개가 중조산에 해당한다.

지각(枝脚)
내룡의 몸체에 짧게 붙어 내룡이나 지룡의 몸체를 지탱하거나 내룡의 방향까지 변화시킨다.

지관(地官)
음양과를 합격한 풍수가 중에서 왕족의 묘 터를 잡기 위해 선별된 사람이다. 국상 때만 임명된 임시직이었으나 한 번 지관으로 임명되면 당대 최고의 풍수가로 인정받아 퇴임 후에도 그대로 벼슬 명을 붙여 불렀다.

지룡(枝龍)
내룡보다 작은 규모로 내룡을 따고 가지처럼 뻗어내린 내룡이다. 명 방룡(傍龍)이라 한다.

지리신법 (地理新法)
청나라 호순신(胡舜申)이 찬하고 황야가 교감한 풍수지리서

1책(43장). 32.2×21.7cm. 철활자본. 1866년(고종 3) 왕명으로 간행된 것이다. 청나라 호순신이 종래의 풍수지리 서적을 널리 참고하여 요긴한 것만 뽑아 간추린 풍수지리서인데 한국에서도 이를 풍수지리의 지침(指針)으로 삼은 것이다.

내용을 보면 오산도식(五山圖式)·오행론(五行論)·산론(山論)·수론(水論) 등 수십개의 논을 설명하였다. 예를 들면 오산도식에서는 산의 형국을 오행에 대비하여 금국(金局)·수국·목국·화국으로 도시(圖示) 설명하였고 용호론(龍虎論)에서는 좌청룡 우백호를, 기혈론(基穴論)에서는 혈(穴)의 기본이론을, 좌향론(坐向論)에서는 아무리 혈이 좋아도 방향이 맞지 않으면 길(吉)이 흉(凶)으로 바뀐다는 이론을 설명했다.

특이한 점은 오행론(五行論)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쓰는 정오행(正五行)을 써서 자(子)·인(寅)·갑(甲)·진(辰)·손(巽)·신(申)·술(戌)은 수(水)에, 을(乙)·병(丙)·오(午)·임(壬)은 화(火)에, 간(艮)·묘(卯)·사(巳)·목(木)·정(丁)·유(酉)·건(乾)·해(亥)는 금(金)에, 미(未)·곤(坤)·경(庚)·계(癸)·축(丑)은 토(土)에 각각 배속한 점이다.

지반정침(地盤正針)
일명 내반정침(內盤正針)이라 부르며 패철 4층을 가리키다. 음택론에서 내룡의 이기를 격정하고, 양택론에서 주택의 방향까지 격정한다.

지지(地支)
60 갑자의 아랫 단위를 이루는 요소들로, 자(子)•축(丑)•인(寅)•묘 ( 卯)•진(辰)•사(巳)•오(午)•미(未)•신(申)•유(酉)•술(戌)•해(亥)이다.
땅의 기운으로 음(陰)이고, 달이고, 여자여서 양 기운을 받아 만물을 낳고 기르는 역할을 담당한다.

진응수(眞應水)
일명 선저수( 渚水)라 부르며 본래부터 혈장 앞에 넘치듯이 고여 있는 샘이나 연못을 가리킨다. 산세가 극히 왕성한 증거이며 맑고 수려하다면 재복(財福)이 크다고 한다.

진혈(眞穴)
혈임을 증명된 혈을 말한다. 형기론은 매우 까다롭게 혈의 증명을 따지며 하나라도 결격 사유가 있으면 진혈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선인수맥감정연구회 010-6277-1193